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위치 추적 막는 스마트폰 설정법, 간단하지만 중요해요

by KJ리포트 2025. 7. 19.

스마트폰 위치 정보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지만, 동시에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 위치 정보는 광고, 마케팅, 심지어 범죄 목적으로도 악용될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앱 외에는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위치 추적을 차단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.

위치 추적 막는 스마트폰 설정법, 간단하지만 중요해요
위치 추적 막는 스마트폰 설정법, 간단하지만 중요해요

1. 위치 서비스 비활성화 및 앱별 설정 관리

위치 서비스를 한 번에 비활성화하면 어떤 앱도 사용자의 위치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. 안드로이드는 '설정 > 위치 > 위치 사용'에서, 아이폰은 '설정 > 개인 정보 보호 > 위치 서비스'에서 전체 위치 서비스를 끌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모든 앱의 위치 기능을 차단하면 내비게이션, 날씨 등 필수 앱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, 앱별로 위치 권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예를 들어, '앱 사용 중에만 허용' 또는 '한 번만 허용' 등의 옵션을 활용해 필요할 때만 위치 접근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.

iOS에서는 각 앱에 대해 '정확한 위치 제공' 옵션을 끌 수 있어, 대략적인 위치만 공유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을 활용하면 광고 추적이나 세밀한 위치 추적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.

2. 시스템 및 구글 위치 기록 차단하기

위치 서비스는 단순히 앱에서만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, 구글이나 애플의 계정과 연동되어 보다 정밀하게 저장되기도 합니다. 특히 안드로이드의 경우, 구글 계정으로 위치 기록이 실시간 저장될 수 있습니다.

이를 차단하려면 구글 계정 > 데이터 및 개인 정보 보호 > 활동 관리 > 위치 기록 항목에서 기록 중지를 설정하세요. 아이폰의 경우 '설정 > 개인 정보 보호 > 위치 서비스 > 시스템 서비스 > 중요 위치' 항목에서 중요 위치 저장을 끌 수 있습니다.

또한, 위치 기록을 정기적으로 삭제하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. 구글은 위치 기록 자동 삭제 기능도 제공하므로 3개월, 18개월 등 주기를 설정해 보관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3. 브라우저 및 SNS 앱의 위치 추적 제한

스마트폰 브라우저나 SNS 앱에서도 위치 정보가 수집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크롬, 사파리, 네이버 앱 등은 웹사이트 방문 시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, 페이스북, 인스타그램, 틱톡 등의 SNS 앱은 포스팅 시 위치 데이터를 함께 기록합니다.

브라우저 설정에서 위치 접근 요청을 '거부'로 설정하거나, 매번 확인하도록 바꿔두는 것이 좋습니다. 특히 크롬은 '설정 > 사이트 설정 > 위치'에서 기본 동작을 바꿀 수 있습니다.

SNS 앱은 설정 > 권한 또는 개인 정보 보호 메뉴를 통해 위치 태그 자동 추가 기능을 끌 수 있으며, 포스팅 시 위치 공유를 하지 않도록 수동으로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합니다.

마무리하며

위치 정보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동시에 위험을 가져올 수 있는 양날의 검입니다. 오늘 소개한 위치 서비스 관리, 시스템 기록 차단, SNS 추적 제한을 실천한다면 나도 모르게 노출되는 정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
사생활 보호는 스스로 지키는 것이 최선입니다. 지금 바로 스마트폰의 위치 설정을 점검해 보세요.